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정책, 무엇이 달라졌나?

by 뉴스톡파원 2025. 7. 14.
반응형

따뜻한 햇살 속 엄마와 간호사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정책, 무엇이 달라졌나?

 

2025년부터 육아휴직 급여 정책이 대폭 개편되었습니다.
저출산 해소와 워라밸 보장을 위한 이번 변화는 특히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급여 상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신 육아휴직 급여 정책의 주요 내용, 신청 방법, 지원 금액 등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육아휴직 제도 개요

  • 대상: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
  • 기간: 자녀 1인당 최대 1년 (부모 각각 사용 가능)
  • 형태: 전일제, 시간제 모두 가능

 

✅ 2025년 육아휴직 급여 변경 사항

 

1. 급여 인상

  • 첫 3개월: 통상임금의 80% (월 최대 250만 원)
  • 4~12개월: 통상임금의 50% (월 최대 150만 원)

 

2. 아빠 육아휴직 보너스제 강화

  • 부부가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두 번째 사용자인 아빠에게 추가 보너스 급여 제공
  • 2025년부터는 최대 한 달치 임금 100% 보너스로 지급


함께보면 좋은 각종 지원금 신청하러가기👆

3. 비정규직·단시간 근로자 적용 확대

  •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 → 육아휴직 가능
  • 비정규직·계약직도 고용보험 가입 시 동일하게 신청 가능

 

4. 자영업자 지원 확대 (2025년 하반기부터)

  • 고용보험 미가입 자영업자도 신청 가능 (일정 기준 충족 시)
  • 정부의 시범 사업 형태로 단계적 시행

 

📄 육아휴직 신청 방법

  1. 소속 회사에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
  2. 승인 후 고용보험 홈페이지(hiworks.go.kr)에서 급여 신청
  3. 필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근로계약서, 급여 명세서 등

 

📌 주의할 점

  • 육아휴직 중 근무 금지: 다른 아르바이트나 부업은 금지됨
  • 중도 복직 시 남은 기간 급여는 미지급
  • 육아휴직 후 6개월 내 퇴사 시, 일부 환수될 수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Q. 남편과 아내가 동시에 육아휴직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동시 사용은 물론, 시차를 두고도 각각 1년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Q. 급여가 줄어들면 출산 전보다 생활이 어렵지 않나요?
A. 정부는 첫 3개월 최대 250만 원 지급으로 부담을 줄였으며, 지방자치단체 별도 육아휴직 장려금도 병행 지원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